-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script
- function
- 배열
- 프로시저
- 자바스크립트
- 오류해결
- pl/sql
- 이클립스
- PROCEDURE
- spring boot
- Oracle
- wordpress
- 문제해결
- 환경세팅
- 워드프레스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워스프레스
- PLSQL
- Hostinger
- 클론코딩
- 트러블슈팅
- sql
- iframe
- 오라클
- dbeaver
- 함수
- 엘리멘터
- JSP
목록코딩 (97)
개발 공부중
$ git pull error: Pulling is not possible because you have unmerged files. hint: Fix them up in the work tree, and then use 'git add/rm ' hint: as appropriate to mark resolution and make a commit. fatal: Exiting because of an unresolved conflict. error: Pulling is not possible because you have unmerged files. merge되지 않은 파일이 있어서 pull할 수 없다는 내용의 오류 내 경우는 로컬(내 pc)에는 있는 파일이 원격(깃허브)에는 다른 사람이 삭제한 상태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E6H1/btrWg1hUkOd/HjOv16oKZkR7H29tSoJQ3k/img.png)
객체 직렬화 (object serialization) Java.io.Serializable 인터페이스 실행 시간에 유지하고 있던 객체 내부의 정보과 객체 자신의 정보를 어디엔가 기록해 놓고 나중에 필요한 시기에 다시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객체의 내용을 파일 혹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byte stream으로 입출력한다. 객체를 저장장치(파일, DB)등에 저장, 검색, 로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객체의 영속성을 제공한다. java.lang.Object : 직렬화 x, 객체를 스트림으로 보낼 수 없다 java.lang.String: 직렬화 o, 객체를 스트림으로 보낼 수 있다. 직렬화를 구현한 창을 스트림으로 다른 컴퓨터에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static 필드, transient 필드는 사용불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QZaY/btrVf7xnChm/GicKoi9TYBNR8dn3XzVYGK/img.png)
C:\Users\user>sqlplus "as sysdba" SQL*Plus: Release 11.1.0.7.0 - Production on 수 1월 4 09:50:27 2023 Copyright (c) 1982, 2008, Oracle. All rights reserved. 사용자명 입력: sys 암호 입력: 다음에 접속됨: 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1.0.7.0 - Production With the Partitioning, OLAP, Data Mining and Real Application Testing options SQL> show user; USER은 "SYS"입니다 SQL> create user kiwi identified 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2PtU/btrU0u0ptI8/kzidqhBxV6WBBc1kUVxe90/img.png)
1) DBeaver(디비버)는 무료 DB툴이다. 아래 DBeaver 사이트 들어가서 window용 설치파일 다운 받기 https://dbeaver.io/download/ Download | DBeaver Community Download Tested and verified for MS Windows, Linux and Mac OS X. Install: Windows installer – run installer executable. It will automatically upgrade version (if needed). MacOS DMG – just run it and drag-n-drop DBeaver into Applications. Debian package dbeaver.io 2) 설치하기,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uj3Z/btrUM5tkdIP/paMfb0Ly0S3vZElIUtPfA0/img.png)
이클립스에 GIT 연동하기( 클론 → 폴더 Import) 1) window → show view → other 3) 이클립스에 깃 레파지토리 화면이 생김 Clone a Git Repository 클릭 4) git URL을 입력하고 아래에 User과 Password(=토큰)를 입력하고 next 클릭 패스워드는 토큰을 써야 되는데 아래 포스팅을 참고했음 [GitHub] 깃허브 토큰(Token) 생성하는 법 여러 IDE에서 Token 로그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토큰을 발급하고자 하였다. 해당 과정을 아래에 적어둔다. (참고) 토큰을 발급한 이후부터는 Git Bash에서 패스워드에 계정 비밀번호 대신 토큰을 입 hoohaha.tistory.com 5) clone을 할 저장소를 선택 6) 완료 후 이클립스 화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r03U/btrURkJPKaq/Tw1Jp6loDAugbLa63271Uk/img.png)
깃 브랜치를 합치는 두가지 방법 Merge vs Rebase Merge : 브랜치의 사용 내역들을 남겨둘 필요가 있을 때 사용 git switch main // ☆ main 브랜치로 이동 git merge [병합할 브랜치명] 머지 전으로 되돌아가기 가능 git branch -d [병합된 브랜치명] // 병합된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병합되지 않은 브랜치] // 병합되지 않은 브랜치 삭제 Rebase :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유지 git switch [rebase할 브랜치명] // ☆ rebase할 브랜치로 이동 git revase main // 브랜치를 main 앞으로 rebase ☆ 아직 main을 rebase한 브랜치의 시점으로 이동해야 하는 상태 git merge [rebase한 브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QSJn/btrUNVprAl5/DiACVcAZEs6HfhNJPqBnMK/img.png)
remote가 origin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다른 이름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다시 연결 해제하고 다시 연결해주면 된다. 1) git flow feature publish 를 하려는데 자꾸 origin이 없다는 오류가 발생 PS C:\Users\user\Desktop\workspace\dev_java\dev_java> git flow feature publish [브랜치명] // : 해당 브랜치를 삭제하지 않고 origin에 push 하기 // 아래는 오류 구문 fatal: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
Vector / ArrayList 공통점 : 저장순서를 유지하고 중복을 허용한다. 차이 : 동기화 유무와 크기 증가시 인덱스의 수의 차이 먼저, Vector의 크기(size)와 용량(capacity)는 다르다. 용량은 박스의 크기 (6) 고 크기는 박스가 얼마나 채워져있는지 (3) 이다. import java.util.Vector; public class MyVec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ector v = new Vector(6); v.add("1"); v.add("2"); v.add("3"); } } import java.util.Vector; public class MyVec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