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beaver
- 엘리멘터
- 자바스크립트
- 프로시저
- 트러블슈팅
- iframe
- 이클립스
- javascript
- 오류해결
- PLSQL
- spring boot
- 클론코딩
- Hostinger
- 오라클
- 함수
- 환경세팅
- 워드프레스
- Oracle
- sql
- PROCEDURE
- pl/sql
- 배열
- 워스프레스
- function
- 티스토리챌린지
- wordpress
- JSP
- 오블완
- 문제해결
목록코딩 (97)
개발 공부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N6PC/btrZoqfLF90/WCyJT5GK7xt34CjAiZvve0/img.png)
함수란, 자주쓰는 실행코드를 블록단위로 묶어놓은 것이다. 기능단위로 재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함수 선언은 function키워드 사용하거나 arrow function(화살표 함수=>)를 사용한다. 호출 : 정의되어있는 함수는 호출해야 비로서 기능이 실행된다. JavaScript 함수의 종류 선언적함수 : 이름을 붙여서 정의한 함 자바스크립트를 읽을 때 우선적으로 읽어준다. 호출위치가 자유롭다 익명함수 : 이름 없이 정의한 함수 - 콜백함수 - 이벤트 처리시 사용 자체로 호출불가 함수명 대신 변수에 익명함수를 대입하거나 특정이벤트 객체에 대입해서 호출 - 대입형함수 익명 함수의 소스 코드는 변수값이므로 끝에 세미콜론 ; 을 써준다. 일급함수와 고차함수 즉시실행함수 : 함수가 자기자신을 정의하자마자 바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skLE/btrZkyDu84F/W4OCXP2znMiLv4N7uRbXqK/img.png)
구조분해할당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분해해서 그 값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표현식 let[a,b,c] = [1,2] 처럼 값이 없으면 undefined가 들어간다. let[user1, ,user2] = [’a’,’b’,’c’] 중간에 b값은 무시된다. [a, b] =[b, a] 로 값을 바꿔치기 할 수 있다. let [x, y] = [1, 2]; console.log(x); // 1 console.log(y); // 2 //배열 구조 분해 할당 let users = ['a','b','c']; let [user1, user2, user3] = users; console.log(user1); // 'a' console.log(user2); // 'b' console.log(us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0b1jq/btrZjfkplTK/SAPFWzMA8JbNZ2QcKIv22K/img.png)
push() : 뒤에 삽입 pop() : 뒤에 삭제 unshift() : 앞에 삽입 shift() : 앞에 삭제 arr.splice(시작, 개수) : 시작부분부터 개수개까지 요소 지움 arr.splice(시작, 개수, 추가) : 시작부분부터 개수개까지 요소 지우고 추가 arr.slice(n,m) : n부터 m까지 반환 arr.forEach((fn)) : 배열 반복 let arr = ['kim', 'lee', 'park']; arr.forEach((name, index) => { console.log(`${index +1}. ${name}`); }); const array =['사과','배','귤','바나나'] console.log('#for in 반복문') for(const i in array){ c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4vRp/btrZjy43CZl/jJxNJTf3seafJOKQK254JK/img.png)
얕은 복사는 객체의 참조값(주소)를 복사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의 값 자체를 복사한다. 얕은 복사(Shallow Copy) const user = { name : "lee", age : 99, } conset user2 = user; user2.name ="kim"; //모두 똑같은 객체를 바라보고 있음 console.log(user); // {name:"kim", age:99} console.log(user2); // {name:"kim", age:99} user를 user1에 넣었더니 기존의 user 값도 같이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데이터 자체를 복사한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의 참조 값을 전달하여 하나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깊은 복사(Deep Copy) 얕은 복사처럼 참조 주소값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U4NJ/btrYzZI2IVN/zBkOzp9PTWSKWvyMn1qOC1/img.png)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때 사용하는 방법인 GET메서드와 POST메서드의 비교 GET 방식 url 상에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를 포함 전송 데이터 노출에 따른 위험 요청 url 길이에 제한이 있음 캐시와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음 보통 무언가를 얻는 것이 목적(읽기/ 검색) 에러가 발생하면 주로 404(Not found) 에러나 400(Bad request) 에러 발생 예시) www.google.com/search?변수명1=값1&변수명2=값2... POST 방식 url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서버로 보냄 HTTP body에 데이터를 담아서 전송됨 캐시와 브라우저 기록에 남아 있지 안음 보통 무언가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생성) 참고한 사이트 HTTP Methods GET vs POST W3Schools o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Hcjo/btrYmuKg50J/KtHfKV0UEoMk1RBnGc6D71/img.png)
객체(Object)란, 여러 속성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 타입 key : value 의 구조로 값을 할당하지 않고 선언만 할 경우 자동적으로 undefined 를 할당 객체가 아닌 기본 데이터 유형, String number boolean null undifined (예제) 접근, 추가, 삭제 및 반복문 사용 const superman = { name : 'clark', // key : value age : 33, } //접근 superman.name //'clark' superman['age'] //33 //추가 superman.gender = 'male'; superman['hairColor'] = 'black'; //삭제 delete superman.hairColor;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HZLc/btrW9qhotd2/KOKgcIBoVTk5CiHEKBeZwk/img.png)
Node.js 와 npm 설치방법 Node.js란, 서버측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 브라우저가 없이도 단독으로 테스트가 가능하다 1. Node.js 홈페이지로 들어간다. https://nodejs.org/ko/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2. 안정적인 파일로 설치 3. 파일을 실행하고 기본 설정으로 설치하면 된다. 4. 중간에 뜨는 관리자권 한 확인 클릭하고 설치하면 끝 5. 아무 키나 누르고 자동으로 뜨는 파워셀은 그냥 종료해주면 된다. 6. CMD창에서 node가 잘 설치 됐는지 확인해준다. npm은 node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fJbY/btrWw7hWDnC/6K55HNlGsRlkX9VbqmLSI0/img.png)
MVC 패턴 (Model / View / Controller)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 Model계층 (XXXLogic.java + XXXDao.java)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Controller계층 명령을 모델과 뷰 부분으로 라우팅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모델의 상태를 바꾼다. ex) 입력 폼과 버튼 액션 사용자의 요청사항을 파악한 후에 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Model에 의뢰하고, 데이터를 View에 반영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View 계층 레이아웃과 화면을 처리 클라이언트 측 기술인 html/css/javascript들을 모아둔 컨테이너이다. * DAO(Dat..